티스토리 뷰

First class citizen : 1급 시민(=1급 객체)이 되기 위한 조건 - 값

예시) 1, 함수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값이 될 수 있다

함수가 다른 함수의 리턴 값이 될 수 있다면 그 언어는 함수를 1급 시민으로 대우하는 것

 

모던 자바스크립트 딥 다이브에 따르면,

값(value) : 식(표현식)이 평가 되어 생성된 결과

리터럴(literal)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

표현식(expression) :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

문(statement) :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자 최소 실행 단위

토큰(token) : 문법적인 의미를 가지며, 문법적으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코드의 기본 요소

로 정리할 수 있다.

 

함수가 값이 될 수 있기에 함수 표현식이 있다. (함수를 나타낼 때에 함수 표현식과 함수 선언식이 있다.)

그리고 최근 디자인 시스템에 종종 등장하는 컬러 토큰과 같은 용어가 어디에서 등장했나 했더니 역시나 프로그래밍이었다. 디자인 시스템의 가장 최소 단위라는 의미에서 토큰이라는 용어로 지칭하지 않았나싶다.

 

callback function : 다른 함수의 입력값으로 전달되어서 다른 함수에 의해서 나중에 호출되는 함수

 

let words = ['spay', 'limit', 'elite', 'wsdkfjsdl', 'destyrigksl', 'presenst'];
    //newWords = words.filter(element=> element.length > 6);
function myfilter(origin, callback){
    var result = [];
    for (let word of origin) {
        var current = word;
        if(callback(current)){
            result.push(current);
        }
    }
    return result;
}
newWord = myfilter(words, element=>element.length > 6 );
console.log(newWord);

 

 

출처 : 생활코딩 

https://youtu.be/TAyLeIj1hMc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