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빅오표기법 (Big-O notation), 보이는 학생
동네주민1
2022. 3. 1. 20:07
빅오표기법은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나타내는 표기법
아래와 예시와 같이 for문이 1번만 돌면 O(n)
이중for문으로 쓰이면 O(n^2)
시간 복잡도(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비교하자면
O(1) < O(logn) < O(n) < O(nlogn) < O(n^2) < O(2^n)등의 순서로 복잡하다.
선생님에게 보이는 학생의 수를 구하는 알고리즘
for문을 중첩해서 구할 수 도 있겠으나 max라는 변수를 만들어서 한번만 루프를 돌리는게 더 낫다.
n과 관련된 그 어떤 변수를 루프 안에 쓰더라도, 루프가 하나라면 O(n)으로 나타내면 된다
<script>
function solution(arr) {
let answer = 1,
max = arr[0];
for (let i = 1; i < arr.length; i++) {
if (arr[i] > max) {
answer++;
max = arr[i];
}
}
//for문을 이중포문하면 시간 복잡도가 O(n2)임, 포문 한번만 돌면 시간 복잡도가 O(n)
return answer;
}
let arr = [130, 135, 148, 140, 145, 150, 150, 153];
console.log(solution(arr));
</script>
출처: https://holika.tistory.com/29 [Uing? Uing!!]